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Terminology7

[블록체인] 블록체인 용어사전 정리 v0.2 블록체인 관련해서는 새로운 용어가 너무 많은데이해를 돕기 위해 시작했는데 어느새 단어들이 쌓여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 어느 도메인이든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수 인데, 스스로 이해하기 위해 시작했는데 하다 보니 많은 도움도 되는 것 같고, 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1차 버전을 오픈하기로 결정했다. https://github.com/teddyhong182/blockchain-glossary 업데이트가 편한 GUTHUB에 올려고, markdown 의 편한 링크 기능을 통해 단어를 일부 연결 하였다.최초에 사전 형태로 하려다가 ㄱㄴㄷ 순으로 읽히는 것이 좀 지겨울 것 같아서 링크 기능을 활용하였다.버전이 업그레이드가 될 수록 연결을 더 타이트해 질 듯. 4월에 시작했는데 벌써 한달이 지났.. 2018. 5. 7.
[블록체인] ERC-20의 정체!! ERC-20 이란? 일부 잘못된 내용이 있어 수정 하였습니다. 블록체인, 특히 이더리움 공부를 시작하게 되면 많이 보이는 용어 중 하나가 ERC-20 이란 용어인데대략적인 내용은 알지만 명확한 정의를 몰라 직접 찾아보게 되었다. 우선 위키피디아에 찾아 ERC20 을 검색하면, ERC20 은 Fabian Vogelsteller 이란 이더리움 개발자에 의해 2015년 11월 19일에 제안 되었고, 토큰을 구현하기 위한 Ethereum 블록 체인에서 스마트 계약에 사용되는 기술 표준이라고 한다.그리고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의 약자이며, 20은 요청(제안)에 할당된 번호라고 한다.Ethereum 토큰에 대한 공통 규칙 목록을 정의하여 개발자가 토큰 간의 상호 작용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하고,이.. 2018. 5. 5.
DSL 이란? DSL : Domain-Specific Language- "Little Language"DSL은 개념을 언어 구문으로 만들 수 있는 특정 범주의 지식에 한정된 언어이다. 2014. 6. 12.
Persistence layer? Persistence 의 사전적 의미 : 지속됨DB 부분을 왜 Persistence layer 라고 하는지 계속 궁금했는데..답을 찾았다. 보통 변수나 객체 같은 것들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영속적(지속적)이 보장되지 않는다. 컴퓨터가 종료되면 초기화 되기 때문에허나 파일이나, DB에 저장되면 영속성이 어느 정도 보장이 되어 해당 부분을 그렇게 칭한다.(물론 영원히 보장 되지는 않지만.. 태클 걸지 마시길..) 2013. 11. 14.
Tiles vs Sitemesh, Composite View vs Decorator Composite View 패턴의 Tiles와 Decorator 패턴의 sitemesh 를 비교해 놓은 표 출처 : http://tiles.apache.org/framework/tutorial/pattern.html Aspect Composite View Decorator Reusability The different parts of the page (template and pieces) can be reused across the whole application. Each decorator can be reused, but the decoration itself can be applied to one page at a time. Ease of configuration Each page must be d.. 2012. 5. 10.
SVN(Subversion)의 용어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 폴더(프로젝트), 모든 프로그램 개발 작업은 trunk에서 시작한다. 최종 Production 상태 Branches -. Trunk 에서 뻗어져 나온 가지(메인 소스를 유지보수 또는 버그 수정용도로 사용 -. 프로젝트 내부의 작은 프로젝트의 개념 -. 메이저 버젼 업그레이드와 마이너 버젼 업그레이드로 구분 할 경우에 사용됨. -.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하나의 팀에서는 메이저 버젼이 업그레이드 된 버젼을 개발하는 팀이 있고, 현재 서비스 되는 버젼을 보완 하는 팀이 있다. 이런 경우 서로 개발하는 부분이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통해 각자 개발을 진행 할 수있다. -. 최종적으로는 Trunk에 merge 되어야 함.(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 Tag.. 2012. 5. 3.
반응형